젖몸살 예방과 위생관리 알기

Posted by hisapa
2016. 4. 9. 20:01 생활정보 스토리

 

 

 

 

 

 

 

젖몸살 예방과 위생관리 알기

 

 

 

 

 

 

 

 

출산의 고통은 그 어떤 고통과

비교하기 힘들다고 하죠.

출산하는 것보다
젖몸살의 고통이 더 괴롭다고

말하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젖몸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출산 후 젖이 불어 오르고 모유수유를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젖을 제때 짜지 못하면

유방이 단단해지고 통증이 생기는데요.

 

 

 

 

 


이런 증상이 바로 젖몸살이라고 합니다.

젖몸살은 예방이 가능한데요.
특히 젖몸살은 그대로 방치하면

 몸에 열이오르고 심한 경우 염증이 생기게
될 수도 있다고 해요.

유방에 생기는 염증을 유선염, 유방염이라고 하는데요.

 

 

 

.

 

 


출산 후 1개월 내 산모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젖몸살은 유방이나 겨드랑이에
혹이 만져지면 유선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젖몸살이 생기면
막힌 유관을 빨리 뚫어주고 젖을 빼내 주는 것이 필요한데요.

 

 

 

 

 

젖을 제거해주고 따뜻한 수건으로 찜질을 한 후 부드럽게 마사지를 통해
뭉친 부분을 풀어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유방에 통증이 생기면 아기에게
젖을 자주 물려주어 젖을 빼내주고 남은 젖은 유축기로 짜내 유관을 비워주는
것이 좋다고 해요. 젖몸살은 보통 유두관리 소홀, 잘못된 수유법에서
비롯된다고 하는데요. 수유하기전 깨끗하게 유방을 닦아야 한다고 해요.

 

 

 

 

 

또한 아기에게는 올바른 자세로 수유를 하도록 해 출산 직후부터 바로
젖을 물려 유방내 젖이 고여있지 않도록 해주는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아기에게 젖을 제대로 물리지 않으면 젖이 유방에 고이고 세균이 침투하면
유선염으로 까지 발병될 수가 있다고 하니 반드시 마시지나 위생관리를
철저하게 해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젖몸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게시글 공유하기